파이썬 Python 알고리즘 강의 - 1. 변수와 데이터 타입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코딩 샐러드 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기초인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서 쉬운 예시를 들어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1. 변수(Variables)와 변수 선언과 할당(Variable Declaration and Assignment)
변수란 어떤 값을 담는 상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시절 우리가 풀었던 수학 문제에서 '수연이가 가진 사과의 개수를 x로 두자'라고 했던 것을 기억하시나요? 그 때의 x가 바로 변수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합니다: x = 10
.
변수 선언과 할당(Variable Declaration and Assignment)
변수 선언은 변수를 만드는 것이고, 할당은 변수에 값을 넣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x = 10
에서 'x'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10'이라는 값을 할당한 것입니다.
2. 변수의 스코프(Variable Scope)
변수의 '스코프'는 변수가 어디까지 효력을 발휘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집 안에서만 먹을 수 있는 사탕이 있다면 그 사탕의 스코프는 '집 안'입니다. 파이썬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함수 안에서 만든 변수는 그 함수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지역변수'라고 합니다. 반면에, 함수 밖에서 만든 변수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전역변수'라고 합니다.
C++ 기반으로 작성한 글이지만, 이 글이 변수의 스코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3. 파이썬 자료형과 파이썬 Data type의 특징(Features of Python Data Types)
변수에 담기는 값들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은 숫자, '안녕하세요'는 문장입니다. 이렇게 값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의 자료형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은 더하기 연산을 통해 문자열을 이어붙일 수 있고, 숫자형은 사칙연산이 가능합니다.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는 여러 개의 값을 한 번에 담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각 자료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이나 메서드가 다릅니다.
문자열(Strings)
문자열은 '문자'들의 '열'이라는 뜻입니다. 즉, 글자들이 줄줄이 이어진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name = "수연"
이라고 하면, "수연"이라는 문자열이 name이라는 변수에 저장되는 것입니다.
숫자형(Numeric Types)
숫자형은 숫자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예를 들어, age = 12
라고 하면, 12라는 숫자가 age라는 변수에 저장되는 것입니다.
리스트(Lists)
리스트는 여러 값들을 한 번에 담을 수 있는 상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라고 하면, "사과", "바나나", "포도"라는 세 개의 값이 fruits라는 리스트 변수에 저장되는 것입니다.
리스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1) 파이썬 리스트 - 기본 이해하기
2) 리스트 Comprehension
튜플(Tuples)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한번 만들어진 튜플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days =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이라고 하면, 이렇게 요일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튜플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튜플에 대한 사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딕셔너리(Dictionaries)
딕셔너리는 키와 값이 한 쌍을 이루는 자료형입니다. 예를 들어, student = {"name": "수연", "age": 12}
라고 하면, "name"이라는 키에는 "수연"이라는 값이, "age"라는 키에는 12라는 값이 저장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자료형을 제공하며, 각 자료형에 따라 할 수 있는 연산이나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이 다릅니다.
1) 파이썬 딕셔너리 Dicitionary 자료구조 Key & value
4. 자료형 변환(Type Conversion)
자료형 변환은 한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이라는 문자열을 10이라는 숫자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를 파이썬에서는 int('10')
으로 표현합니다. 반대로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려면 str(10)
으로 표현하면 됩니다.
이제 파이썬의 기본적인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파이썬은 이런 기본적인 요소들을 조합해서 복잡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이런 기초가 중요하답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제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면서 이해를 더 깊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